반응형
자막 줄이 많아지니까? 1+1+2(일일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 메뉴 선택하고 / 색상 지정하고 / 확인 버튼 누르고..
게으름의 상징. 우리 세대는
오늘도 간소화를 할 방법이 없을까 고민에 빠진다..
이 방법을 간소화하는 방법은 역시 단축키 뿐이다. 그래서 찾아봤다.
단축키 설정에 들어가서 '색'을 검색하니 있다. 목록 보기 및 텍스트 상자 밑에
?? Q 그런데 색상은 지정 못해?
A 아니다, 할 수 있다.
일단은 단축키부터 지정한다. 색상1을 클릭하고, 맨 밑에서 단축키를 설정하고
여기서 주의, 그냥 확인 버튼 누르면 안된다.
반드시 옆에 있는 업데이트 버튼을 눌러서
단축키가 등록된 것을 확인한 후에 확인 버튼을 누른다.
단축키 설정은 끝났다. 일단 설정 창을 닫고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잘 된다.
서브타이틀 에디트를 일단 끄고
윈도우 탐색기에서 저 파일을 찾는다. 물론 서브타이틀 에디트의 파일이다.
주인장의 경우 포터블 판을 쓰고 있어서 실행파일 옆에 있다.
인스톨 버전은 C:\사용자\사용자 이름\AppData\Roaming\Subtitle Edit 에 있을 것.. 같다.
솔직히 모르겠다. -_-
아무튼 세팅 파일을 연다. (주인장의 경우에는 notepad++로 열었다.) 그리고 그림과 같은 위치를 찾는다.
Ctrl+f로 찾는다.
첫 줄의 컬러 부분을 자신이 원하는 색으로 바꾸고 저장.
?? Q 색 코드는 여섯 자리인데 왜 여덟 개임?
A ........-라고 물으면 나 같은 컴맹은 대답 못한다. 0.0
그냥 # 뒤로 여섯 자리만 바꿔주고 저장.
이유는 모르지만 답은 아는 비겁한 어른..
아무튼간에! 서브타이틀 에디트를 켜고 확인하니 잘 된다.
반응형
'잡담 > pc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우스 버튼이 고장 났다. (1) | 2024.09.30 |
---|---|
엣지 페이지 번역 (0) | 2024.09.24 |
JAutosub (0) | 2023.10.28 |
shotcut (0) | 2023.10.10 |
subtitle edit로 자동 싱크 생성 (1) | 2023.10.06 |
댓글